어떤 주제로 글을 써야 될지 모를 때
현재 사람들이 어떤 주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블랙키위라는 키워드서치 분석사이트가 한 방법인데요
이번포스팅에서는 블랙키위 사이트의 사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블랙키위 - 키워드 검색량 조회, 분석
내 관심 키워드가 언제 가장 많이 검색되고, 어떤 성향과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알아보세요.
blackkiwi.net
위 URL을 타고 들어가면 블랙키위 사이트 홈이 열립니다.
블랙키위는 기본적으로 무료이고 그냥 사용하는 데에는 돈이 들지 않습니다.
물론 유료서비스도 있는데, 유료서비스로는 키워드 추천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트렌드
모든서비스 - 트렌드 메뉴로 들어가면 현재 많은 검색량이 이루어지는 키워드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슈 키워드만으로도 현재 검색이 활발한 키워드들을 알 수 있습니다.
키워드 분석
홈 화면의 중간에 위치한 서치콘솔 또는 "모든 서비스 - 키워드 분석" 메뉴로 들어가도 됩니다.
콤보박스를 선택하면 NAVER, Google 두가지 엔진종류가 있고, 내가 검색하려고 하는 키워드가
어떤 엔진에서 분석할건지 선택합니다.
앗,,,
구글 검색엔진 키워드 분석 서비스는 유료군요,,,
네이버검색엔진 위주로 사용해야 되겠습니다.
네이버로 저는 "중복" 키워드를 조회해 봤습니다.
하나하나 뜯어볼까요~
키워드 최초 등장일
중복키워드가 처음 검색된 날짜는 2016-01-01이라고 나옵니다.
2016-01-01부터 데이터가 수집되었기 때문에 실제로는 더 이전에 생성된 키워드이지만 2016-01-01로
나오네요 즉. 2016-01-01이 최솟값입니다.
키워드등급
키워드 등급은 총 15단계로 구분이 되며 중복은 C+ 등급이네요
키워드 등급이란
키워드 등급은 상위 노출 관점에서 키워드의 가치를 판단하기 위해 블랙키위가 직접 개발한 지표이며,
콘텐츠 상위 노출에 영향을 준다고 판단되는 특정 항목에 개별 가중치를 부여하여 산출합니다.
이후 산출된 점수를 기반으로 15단계 (S+ ~ D-)의 등급을 설정하며,
S+에 가까워질수록 상위 노출에 유리합니다.
키워드 분석에서 제공되는 모든 지표를 일일이 확인하여 분석하기 힘들다면,
키워드 등급만 참고하셔도 무방합니다.
월간 검색량
월간 검색량은 PC와 모바일이 구분되어 있고 합계로도 나옵니다.
월간 검색량
금일을 제외한 최근 한 달간 해당 검색엔진에서 키워드가 검색된 횟수입니다.
월간 콘텐츠 발행량
해당 키워드로 한 달간 얼마만큼의 글이 발행되었는지 알 수있는 지표입니다.
월간 콘텐츠 발행량
금일을 포함한 최근 한달간 검색한 키워드와 관련된 콘텐츠의 발행 수입니다.
블로그, 카페로 나눠서 구분됩니다.
콘텐츠 포화 지수
콘텐츠 포화지수
키워드에 대해 관련된 콘텐츠(블로그, 카페, VIEW)의 포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에펠탑이라는 키워드의 월간 검색량이 2000이고 월간 콘텐츠 발행량이 150이라고 가정했을 때
월간 콘텐츠 발행량에 월간검색량을 나누어 비율을 구합니다.
150 / 2000 * 100 = 7.5%
위 비율을 토대로 아래의 등급을 매깁니다.
50% 이상 매우 높음
30% ~ 49.5% 높음
10% ~ 29.9% 보통
5% ~ 9.9% 낮음
5% 미만 매우 낮음
연간키워드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해당 키워드와 연관 있는 키워드들을 보여줍니다
검색동향 그래프
해당 키워드의 일간, 월간, 연간 검색동향과 그래프가 나옵니다.
확실히 중복으로 조회하면 여름에 검색량이 몰려있네요
검색비율도표
일별, 월별, 연별 그래프지표 말고도 아래의 월별 검색비율, 요일별 검색비율처럼
도표로도 볼 수 있습니다.
7월에 검색이 많이 되고 주말보다는 평일에 검색량이 많네요.
만약 이 키워드로 글을 작성한다면 여름시즌에 맞춰서 작성을 준비해야겠습니다.
여름이 지나가고 이 글을 쓴다면 또 일 년을 기다려야 되기 때문이죠
섹션 배치순서
해당 검색엔진으로 키워드를 검색했을 때 어떤 순서대로 몇 개가 노출이 되는지 알려주는 기능입니다.
연령별/성별 검색비율, 이슈성, 정보성/상업성
해당키워드를 어떤 나이대, 성별이 많이 검색하는지 알 수 있는 그래프와
이슈성그래프입니다.
'중복'키워드는 20~30대 사람들이 많이 검색을 하며 남, 여 비율은 거의 반반이네요
이슈성은 키워드가 얼마나 검색량 급상승 키워드인지 보여줍니다.
15%가 넘어가는 이슈성은 엄청 높은 수치라고 하니 이슈성이 높은 키워드를 찾아서 글을 써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정보성/상업성의 경우 키워드가 광고와 쇼핑에 가깝다면 상업성이 높게, 정보검색에 가깝다면 정보성이 높게 나옵니다.
여기까지가 블랙키위의 사용법에 대해 정리해 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블로그운영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위 노출을 위한 콘텐츠 작성법 (0) | 2023.07.18 |
---|---|
상위 노출을 위한 검색엔진최적화[SEO] (0) | 2023.07.17 |
수익화 블로그를 위한 애드센스 정리 (0) | 2023.07.17 |
티스토리 블로그 세팅방법 (0) | 2023.07.16 |
[티스토리]블로그 썸네일 만드는 방법 (0) | 2023.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