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미노입니다.
아무리 내가 올리는 콘텐츠가 좋아도 검색 시 상단에 뜨지 않으면 매출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하지만 검색엔진 최적화(SEO)를 한다면 내가 쓴 글이 검색엔진 상단에 나 올 확률이 올라가겠죠?
이번포스팅에서는 검색엔진최적화(SEO)에 대해서 정리하고 알아보겠습니다.
검색엔진최적화(SEO)란?
검색엔진최적화란 영어로 'Search Engine Optimization'으로 SEO라고 줄여서 말합니다.
사람들은 구글이나 네이버등 검색사이트에서 조회할 때 첫 번째 페이지를 넘기는 일이 거의 없습니다.
극단적으로 본다면, 첫 페이지에서 상단의 3개글 안에서 선택해서 읽습니다.
따라서 아무리 좋은 콘텐츠를 작성해도 검색엔진최적화를 충족하지 못하면 내 글은 검색엔진 상위에
노출되지 못할 확률이 높습니다.
검색엔진은 어떤 역할을 할까요?
검색엔진이 하는일은 간단합니다. 고객의 질문에 대해 가장 최적의 답을 내놓는 글을 찾는 역할을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가장 최적의 답을 내놓는 글을 찾는 것입니다.
검색엔진(Searach Engine)알고리즘
검색엔진이 선호하는 글을 쓰기 위해서는 구글, 네이버, 다음 등의 검색엔진이 어떤 알고리즘으로 동작하는지 알아야 합니다. 먼저 네이버는 지식인, 네이버블로그, 네이버카페 등 자체 플랫폼에 속한 특수한 카테고리가 많기 때문에 네이버에서 작성한 글을 먼저 보여주는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다른 글에서 보면 네이버를 하나의 SNS라고 하더군요)
하지만 구글은 네이버와 다르게 오롯이 검색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구글의 알고리즘은 구글의 웹마스터 에 상세히 나와있습니다.
Google 검색 Essentials(이전 명칭: 웹마스터 가이드라인) | Google 검색 센터 | 문서 | Google for Devel
Google 검색 Essentials는 웹 기반 콘텐츠(Google이 웹에서 찾은 웹페이지, 이미지, 동영상 또는 공개적으로 사용 가능한 기타 자료)가 Google 검색에서 표시되고 좋은 실적을 내도록 하는 핵심 요소입니
developers.google.com
구글의 알고리즘은 크롤링(Crawling), 인덱싱(Indexing), 랭킹(Ranking) 3단계로 검색 결과 내 가장 적절한 페이지를
상위노출 시킵니다.
-크롤링
크롤링은 구글봇(웹 크롤러)이 웹페이지의 콘텐츠를 복사해서 모든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한 정보를 검색엔진으로 가져옵니다.
-인덱싱
구글봇이 가져온 정보를 주제별로 색인해서 데이터를 보관합니다.
-랭킹
색인된 콘텐츠를 검색 의도에 맞춰서 순위를 부여한 다음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랭킹 순서대로 결과를 제공합니다.
구글 검색엔진최적화(SEO)로 상위노출 하는 방법
-Http가 아닌 Https로 보안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구글은 Https 보안 프로토콜을 더 선호합니다. 인증기관에서 발급하는 ssl인증서를 구입해서 Https로 변경해 주세요
-URL최적화
서브도메인 보다 서브폴더 형식을 사용해야 합니다.
서브도메인 형식을 사용하면 검색엔진은 사이트가 여러 개 있다고 인식해서 도메인 점수가 분산됩니다.
-robots.txt 를 정리하고 사이트 루트에 위치해 둡니다.
robots.txt는 사이트맵 위치, 접근 가능한 파일과 그렇지 않은 파일 등의 정보를 알려주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파일입니다.
필요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 후 사이트 루트에 위치시킵니다.
-사이트맵
사이트맵이란 웹사이트 내의 모든 페이지들을 나열한 파일입니다.
사이트맵 또한 robots.txt와 마찬가지로 루트 디렉터리에 위치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타이틀 태그와 메타 디스크립션 태그
검색엔진최적화를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웹사이트를 HTML문법에 맞게 작성해야 합니다.
타이틀 태그는 페이지의 제목을 의미합니다.
검색엔진은 타이틀 태그에 적용된 내용을 검색결과에 표시합니다. 따라서 타이틀 태그는 클릭률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구글 키워드 플래너 나 구글 트렌드 등을 활영하여 키워드 리서치를 통회 최적화를 해야 합니다.
-캐노니컬 태그
캐노니컬 태그는 HTML <head>태그 안에 삽입하는 코드로 특정 웹페이지의 대표 url주소를 검색엔진에게 알려주는 역할로 상위노출 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구글 공식홈페이지에서 canonical 태그를 확인해 보았습니다.
-이미지 alt 속성
alt속성이란 웹사이트에서 이미지가 로딩이 안되었을 때 표시하는 대체 텍스트입니다.
우리는 구글봇이 좋아하는 웹사이트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alt태그를 통해 어떤 이미지인지
구글봇에게 설명해줘야 합니다.
ex) <img src="rabit.jpg" alt="토끼사진">
위의 예제처럼 구글봇에게 해당 이미지가 어떤 사진인지 글로 간단한 설명을 작성합니다.
-페이지 로딩 속도
페이지 로딩 속도는 검색엔진 최적화를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로딩속도란 사용자가 내 웹페이지를 클릭했을 때 정보가 로딩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말하며
구글은 로딩속도가 짧은 웹사이트에 더 높은 SEO 점수를 줍니다.
트래픽이 많아질수록 더 많은 메모리와 CPU자원이 필요하게 됩니다. 따라서 호스팅 서버 자원이 충분한지
주기적으로 확인해야 하며 자원이 부족한 경우 자원을 추가해야 합니다.
-모바일 친화성 갖추기
구글 검색엔진 최적화는 모바일 중심으로 색인을 생성합니다.
모바일 중심이란 웹사이트를 모바일에서 보기 편안하게 만드는 것을 의미하며 콘텐츠를 만들 때
모바일을 중점으로 만들어야 합니다.
내 웹사이트의 모바일 친화성 여부를 확인하려면 구글의 모바일 친화성 테스트 도구를 통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키워드 리서치를 통해 검색엔진과 고객에게 맞춘 글 작성하기
콘텐츠를 작성할 때 키워드 리서치가 제일 중요합니다. 내가 쓰고 싶은 글이 아닌 내가 원하는 주제의 사용자가 어떤 것에 관심 있는지 키워드를 찾은 후 궁금증을 풀어주는 콘텐츠를 제작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관심있어하는 키워드를 찾은 후 그 키워드에 해당하는 글을 작성해 보세요
'블로그운영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메인 네임도 SEO에 연관이 있을까? (0) | 2023.07.20 |
---|---|
상위 노출을 위한 콘텐츠 작성법 (0) | 2023.07.18 |
수익화 블로그를 위한 애드센스 정리 (0) | 2023.07.17 |
키워드 검색사이트 블랙키위 사용법 (0) | 2023.07.16 |
티스토리 블로그 세팅방법 (0) | 2023.07.16 |